위치 표지판이란?

국가지점번호

국가지점번호

국토 및 해양을 격자형으로 일정하게 구획한 지점에 부여한 번호로 거주 지역이 아닌 논, 밭, 산악지역 등에 설치해 현재 위치의 표시로 응급구조용 및 범죄대처용으로 활용합니다.

기준점은 서남쪽 끝단 이어도해양과학기지 (남쪽 700km, 서쪽 300km 지점)를 기준으로 전국을 100km × 100km 격자로 나눈 뒤 100km 정사각형을 다시 1만 개(10x10m) 정사각형으로 나눕니다.

한글 문자 2개와 아라비아 숫자 8개로 나타내며, 첫 번째 한글(가~아)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두 번째 한글(가~아)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나누며 한글 한 자의 간격은 100km이다. 숫자 8개는 한글 앞자에 숫자 4개, 뒷글자에 숫자 4개이고 현 위치 거리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라바 8485 1333"는 기준점에서 동쪽으로 384.85km, 북쪽으로 713.33km 지점을 뜻합니다.

지자체 기초번호

지자체 기초번호

기초번호판은 도로명과 기초번호를 이용하여 건물이 없는 장소나 교통신호등, 가로등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ㆍ설치하는 표지판입니다.

도로명판에 표기하는 기초번호는 한 줄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가지번호가 있는 기초번호를 표기하는 경우에는 두 줄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도로명주소를 부여하기 위해 20m 간격으로 구분합니다.

한전 전산화 번호

한전 전산화 번호

전신주는 보통 30m ~ 50m마다 있으며, '전주번호찰' 상단 8자리 일련번호는 전신주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어 긴급 상황에서 112 또는 119에 8자리 번호를 알려주면 신고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주번호찰'은 위도와 경도, 세부위치, 선로 명칭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2자리는 위도, 두 번째 2자리는 경도, 나머지는 세부위치를 나타내어 현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 줄 수 있습니다.

주변 지형지물이 없는 농촌이나 밀집 주거지역이 아닌 외진 곳에서 각종 사건 사고 발생 시 또는 응급 상황 시 '전주번호찰'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12 위치번호

112 위치번호

급박한 사건사고나 인명구조를 위해 신속한 현장출동이 필요한 곳에서 112신고를 해도
주변 건물 등 특이점이 없어 신고자가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곳에 112신고 위치 번호표지판을 부착합니다.

112신고는 신속한 현장출동이 매우 중요함에도 농촌 특성상 주변의 특이점이나 지번을 알기가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 112신고 위치 번호표지판을 부착합니다.

가로등 번호

가로등 번호

가로등은 도로폭 12m 이상의 공공도로에 설치하는 도로조명시설로 일반도로에 설치되며 분전함에 의해 다수의 등이 동시에 점등 됩니다.

보안등은 원칙적으로 도록폭 12m미만의 골목길이나 이면 도로 등에 설치된 도로조명시설로 한 개의 등만 독립적으로 점등됩니다.

시설구분(가로등, 보안등)과 고유번호 그리고 고장신고전화로 구성되어 집니다.

가로등 번호만 잘 알아두면 가로등이나 시설물 등의 고장 신고를 하거나, 교통 사고가 나서 위치를 설명해야 하는 급한 순간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로명 주소 표지판

도로명 주소 표지판

도로명주소란 부여된 도로명, 기초번호, 건물번호, 상세주소에 의하여 건물의 주소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도로에는 도로명을 부여하고, 건물에는 도로에 따라 규칙적으로 건물번호를 부여하여 도로명과 건물번호 및 상세주소(동ㆍ층ㆍ호)를 표기하는 주소제도입니다.

도로명은 도로구간마다 부여한 이름으로, 주된 명사에 도로별 구분기준인 대로, 로, 길을 붙여서 부여합니다.

건물번호는 도로시작점에서 20m 간격으로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를 부여합니다.